▲ 공공연대노조 콤스코시큐리티지부(지부장 신준호)는 15일 오전 대전 유성구 한국조폐공사 본사 정문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자회사 용역 설계 변경을 촉구했다. <공공연대노조>

한국조폐공사 자회사인 콤스코시큐리티 노동자들이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농성에 돌입했다.

공공연대노조 콤스코시큐리티지부(지부장 신준호)는 15일 오전 대전 유성구 한국조폐공사 본사 정문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자회사 용역설계 변경을 촉구했다. 이들은 결의대회 직후 같은 장소에서 천막농성을 시작했다.

조폐공사는 2018년 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정책에 따라 콤스코시큐리티를 설립하고 기존 용역노동자를 자회사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하지만 고용안정과 처우개선이란 정책 취지와 달리, 콤스코시큐리티 노동자들의 처우는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노조가 지난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실을 통해 확인한 결과, 콤스코시큐리티 노동자 80여명의 평균 월급은 239만원으로, 조폐공사 노동자 평균 연봉(7천838만원)의 37%에도 못 미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조폐공사는 차 의원실에 임금은 시중노임단가 이상 임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임금 등 용역비 적정성 분석을 위해 전문업체와 컨설팅을 진행 중이라고 해명했다.

노조는 콤스코시큐리티의 임금이 업계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노조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 자회사 시큐텍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콤스코시큐리티 보다 월 150만~200만원 높다. 한수원은 자회사 노동자 임금에 식대·교통비·상여금(400%)을 적용하고 있는 반면, 조폐공사는 이러한 항목을 임금 설계에서 제외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부는 올해 1월부터 콤스코시큐리티 사쪽과 교섭을 하며 세 차례 충남지방노동위원회 조정회의에 참여했지만, 최종 결렬됐다. 이후 7월부터는 출근 선전전을 비롯한 쟁의행위에 돌입했다. 교섭 기간 조폐공사쪽에도 면담을 요청했으나, 현재까지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한 상태다.

지부는 △콤스코시큐리티 경영진 즉각 해임 △특수경비 자회사 평균임금 수준으로 용역설계 변경 △노조 면담 요구 수용 및 처우개선 계획 제시 등을 요구하고 있다.

신 지부장은 “조폐공사는 정부 정책과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몰상식한 태도를 즉각 중지해야 한다”며 “자회사 노동자들을 착취한 대가로 모회사의 배만 불리는 반노동적인 작태도 즉각 중단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용준 기자 산업을 따라 노동 현장을 전합니다.